국민연금 늦게 받으면 36% 더 준다고? (40대 아들의 연기연금 솔직 분석)
지난번 '조기수령' 글에 이어, 이번엔 정반대의 선택지인 '연기수령'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1년 늦게 받을 때마다 7.2%씩 연금액이 늘어난다는데, 과연 이게 모두에게 유리한 선택일까요? 저희 아버지를 기준으로, 40대 아들인 제가 직접 시뮬레이션해 본 현실적인 장단점을 공유합니다.
1. '연기연금'이란? 기다림으로 연금액을 불리는 마법
연기연금(연기수령)이란, 국민연금을 정상 수령 시점보다 최대 5년까지 늦춰서 받는 제도입니다. 이렇게 수령을 미루면 1년마다 7.2%씩 연금액이 증가36%까지 인상
단, 한번 연기를 신청하면 중간에 철회가 불가능하므로, 조기수령보다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.
💡 요약: 연기연금은 '건강 + 소득 여유'가 있는 분께 유리한 전략입니다. 특히 장기 수명 시대에 적합한 노후 설계법입니다.

2. 저희 아버지를 기준으로 한 수령액 시뮬레이션
저희 아버지는 63세부터 월 100만 원의 연금을 수령 가능하신 조건입니다. 이를 기준으로 연기연금 시뮬레이션을 아래와 같이 구성해봤습니다.
수령 시작 나이 | 증가율 | 월 수령액 |
---|---|---|
63세 (정상 수령) | 0% | 1,000,000원 |
65세 (2년 연기) | +14.4% | 1,144,000원 |
68세 (5년 연기) | +36% | 1,360,000원 |
5년을 기다리면 매달 36만 원씩 더 받게 되는 셈입니다. 장기적으로 볼 때, 꽤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.
3. 연기연금이 유리한 사람은?
- 건강한 분: 오래 살수록 더 많은 연금 총액을 받습니다.
- 근로소득 또는 자산 소득이 있는 분: 당장 연금이 필요하지 않다면 미루는 것이 이익입니다.
- 절세 전략을 세우는 분: 수령 시점을 늦추면 소득세도 이연 효과가 있습니다.
4. 연기연금, 신중해야 하는 경우는?
- 건강이 불안정한 경우
- 생활비가 급한 경우
- 다른 수익형 자산의 수익률이 높은 경우
📌 조기수령 vs 연기수령, 저희 가족의 결론은?
아버지의 건강과 현재 소득을 고려했을 때, 저희 가족은 “2년만 연기해서 14.4% 더 받는 전략”을 선택했습니다. 연금 수령 시점도 '설계'하는 시대가 온 것이죠.

결론: 국민연금도 '전략'이다
국민연금은 단순히 정해진 나이에 받는 돈이 아닙니다. 가족의 재정 상황, 건강 상태, 수명 예측에 따라 전략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중요한 노후 자산입니다.
📞 Tip: 국민연금공단(☎1355) 또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예상 수령액을 조회해보세요. 내게 맞는 전략은 지금부터 준비해야 합니다.
🔄 이 글이 유익했다면 가족이나 친구에게도 공유해주세요. 당신의 클릭이 누군가의 노후를 바꿀 수 있습니다.
'1. 국민연금·노후준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연금 60세 조기수령, 진짜 손해일까? (3) | 2025.07.03 |
---|---|
"국민연금, 난 얼마나 받게 될까?" 40대 가장의 현실 체크 (0) | 2025.07.01 |